교육정보 국제학술교류 자매결연학교 소개

자매결연학교 소개

국외 영재교육기관과의 협약체결 현황 / 11개국 21개 기관

(협약내용: 학술교류 및 교직원 · 학생 인적 교류, 2022.01 기준)


  • Specialized Educational Scientific Center Of Novosibirsk State University
    1. 교직원
      • 교원: 240명(과학 박사 20명, 과학분야 연계 교수 및 석사 취득 예정자 81명 외 강사)
      • 대학 평의원회원: 38명 (회원 7명, 러시아 과학회 통신회원 6명, 러시아 교육학회 통신 회원 2명, 과학 박사 27명)
    2. 학생
      매년 시베리아지역, 극동지방,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에서 온 500명 이상의 학생들이 SESC of NSU에서 공부한다. (매년 230~270명이 노보시비르스크대학에 입학하는데 이 중 1/4~1/3에 해당하는 학생들이 SESC of NSU 출신)
    3. 역사
      1961~1962 :
      소련의 과학 아카데미의 시베리아 분교가 고등학생들의 첫 번째 모든 시베리아 콘테스트 조직 및 실시.
      1962. 7 :
      Academgorodok에서 첫 번째 여름학교 시행.
      1963. 1. 21 :
      노보시비르스크 물리, 수학 전문학교 개교
      1963. 8. 23 :
      소련 각료 회의는 물리, 수학, 화학, 생물 전문 기숙학교를 모스크바, 노보시비르스크, 레닌그라드, 키예브 대학에 구성할 것을 법령으로 발표.
      1975 :
      첫 번째 실용 과학 회의가 당 학교에서 실시.
      1980 :
      학자 Michael A. Lavrentiev가 당 학교의 이름을 지음.
      1987. 10. 21 :
      소련정부는 모스크바와 노보시비르스크 대학에 과학 전문 학습 센터를 조직하도록 법령을 발표.
      1988 :
      Physics and Mathematics School이 교육부에서 노보시비르스크 대학으로 이전. 수학, 물리, 자연과학, 인문학부가 조직됨.
      1992 :
      컴퓨터 과학부 생김.
      1994 :
      일반 중등학교용 수학, 물리, 화학, 생물 교과서의 개발을 위한 그룹 조직.
      1995 :
      화학부 생김.
      1996 :
      노보시비르스크대학의 과학교육 전문센터에 과학 연구 실험실 조직.
      1997 :
      외국어학부 생김.
      1998 :
      물리학부 생김.
    4. Summer School
      NSU의 SESC Distant physics-mathematics and chemistry-biology school를 통해 영재학생들은이 선발되기도 한다.
      그리고 사할린, 캄차카 등의 지역에 그 지역 정부의 도움을 받아 원거리 Summer School을 매년 연다. Summer School이 열리고 처음에는 수학, 물리, 화학분야의 All-Siberian 콘테스트 파이널 라운드에 Summer School에 초대받은 모든 학생들이 참가한다. Summer School에 참가하고자 하는 모든 학생들도 자유 경쟁에 참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학생들은 같은 기간 동안 경연과 위 과목의 인터뷰에 참가한다. 콘테스트와 인터뷰 결과에 따라 Summer School에 선발된다.
      Summer School은 8월에 시행된다. 공식 개막은 Russian Academy of Sciences(RAS)의 시베리아 분교(SB)에 있는 Big hall of the House of scientists에서 열린다. 8월 중순에는 수학, 물리, 화학 분야 수업이 실시된다. 강의는 NSU의 SESC 지도교사들과 RAS의 SB 과학 연구소의 연구원 들이 실시한다. 세미나에서는 12~15명으로 그룹을 나누어 각 학생들이 실시한 결과물을 체크하도록 한다. 일련의 수업과정을 마치면 과목당 4시간의 테스트와 인터뷰가 실시된다. 테스트와 인터뷰 결과를 통해 최고 학생들로 뽑히게 되면 NSU의 SESC에 들어가게 된다.
      문화프로그램에는 RAS의 SB 연구소 견학, 가상 프로젝트 변호, “수학 배틀”, “물리 배틀”, 스포츠 경연대회, 다양한 게임, 경연, 콘서트, 디스코텍 활동이 포함된다.
      공식 폐막도 RAS의 SB Big hall of the House of scientists에서 실시된다. 최고 학생들은 특별 수료증과 상을 받는다.
    5. 교과과정
      러시아의 일반 중등 교육과정에 상응하는 프로그램이지만 수학, 물리, 컴퓨터 과학, 화학, 생물, 경제 분야는 심화과정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고등 교육과정을 동시에 제공하지는 않는다. NSU의 SESC의 학습 진행은 고등 교육 체계에 최대한 근접하며 강의와 실용적인 수업과 그 외 학습 관련 활동이 포함된다. 그리고 학생들이 컴퓨터 과학 심화 학습과 선택과목 및 특별 세미나를 통해 공부한 자료를 토대로 작성하는 보고서와 에세이를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것이 교과과정에 포함된다.
      SESC는 학생들의 창의력을 발달시키기 위해 학생들이 색다른 수학, 물리, 화학 등의 문제들을 풀 수 있는 선택과목이나 세미나를 제공한다.
      수업은 학생별 능력에 따라 중등학교 최고 두 학년 과정을 한 학년 혹은 두 학년 클래스로 나눠 가르친다.
      자유시간에는 학생들이 개별적으로 기숙사, 실험실, 컴퓨터 교실, 클럽, 서클 등에서 시간을 보내는데, NSU의 학부에서 실시하는 선택과목 및 특별 세미나에 참여할 수 있다. 특히 이 학생들 중에서 엔지니어링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에게는 Academgorodok의 젊은 엔지니어 클럽에서 공부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그밖에 학생들의 조화로운 발달을 위해 연극, 춤, 노래 등의 클럽 활동을 제공한다.
    6. 홈페이지
    1. 설립역사
      1930년대 세계적으로 이름이 나있던 모스크바 국립대 꼴모고르프 교수(수학)가 창안하였으나, 스탈린 시대의 분위기 때문에 현실화되지 못하다가 1963년 제1차 개방화의 바람을 타고 탄생하였다. 탄생의 주역들은 꼴모고르프를 포함한 이미 세계적인 원로 수학, 물리, 화학자들이 참여하였다. (특히 꼴모고르프 교수는 이후 생의 마지막인 1987년까지 이 학교에서 강의를 하였다.) 이들을 핵심으로 이루어진 수학과학 전문 고등학교는 모스크바, 레닌그라드(현재의 상트페테르부르크), 노보시비르스크와 현재는 우크라이나의 수도인 끼예프 네 곳에 각 지역의 국립대학 안에 독립적인 학부로 만들어졌는데 모스크바 국립대학 안에 만들어진 것이 18번 수학물리학교, 일명 꼴모고르프 수학물리고등학교이다.
    2. 교과과정
      • Mathematics: Transformational Geometry (Lecture & Seminar)
      • Physics
        • Laboratory work on mechanics
        • Physical Tourney
        • Lecture on Physics
      • Chemistry: Organic Chemistry
      • Informatics: Visual Programing and Algorithms, Java, Flash and Web design
      • Russian History and Culture
      • Astronomy & Aerospace
      • English

      강의식 수업, 발표- 토론식 세미나 수업, 실습, 개인 연구로 진행된다. 10학년으로 입학한 학생은 반드시 물리·수학, 컴퓨터·정보학, 화학 세 전공 중 하나를 선택하여야 하며 기본 수업 외에 별도의 전공별 수업, 실습이 진행되고, 11학년으로 입학한 학생은 반드시 물리·수학을 전공하여야 한다. 학교에서 가장 치중하는 과목은 수학이며 전공에 따라 물리, 화학, 정보 등이 뒤를 잇는다. 또한 올바른 세계관 정립과 원만한 사회성을 갖추기 위해 언어, 문학, 역사 수업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체육 수업 또한 마찬가지다. 오후 3시까지는 정규수업이 이루어지고, 나머지 시간은 자율학습이나 특별수업으로 채워진다.

      • 정규 강의식 수업: 이론 중심의 수업, 정규 교과과정
      • 정규 세미나 수업: 문제풀이 및 실험중심의 수업, 정규 교과과정
      • 특별 강의식 수업: 전공별로 학교의 교사/교수나 대학 교수초빙 학기 단위, 일년 단위 특 정 세분화된 주제별로 강좌를 개설하고 원하는 사람은 누구나 들을 수 있는 수업으로 원 할 경우 시험을 보게 하고 시험을 본 학생에 대해서는 성적을 기록
      • 특별 세미나 수업: 함께 문제를 풀거나 책, 논문 등을 가지고 돌아가면서 발표를 하는 수업

       

    3. 입학

      시험의 기본 과목은 수학이며, 물리 전공을 희망하는 학생은 물리, 화학을 전공하는 학생은 화학을 추가한다.

      • 대상
        9학년 졸업자(10,11학년 2년 과정), 10학년 졸업자(11학년 1년 과정)
      • 시험
        • 수학·물리: 2년 과정 응시자 중 수학·물리 전공자, 정보·컴퓨터 전공자, 생물 전공자, 1년 과정 응시자 중 수학·물리 전공자 대상
        • 수학·화학: 2년 과정 화학 전공자 대상
          • * 필요한 경우 시험 전 별도의 테스트 과정을 거침 *무시험 대상자: 1년 이내 수학, 물리, 화학, 정보학 분야 국제 각종 유명 경시대회, 전 러시아 각종 유명 경시대회3등 내 입상자 등, 꼴모고르프 전국 학술대회에서 상을 받은 대상자는 별도의 면담을 통해 선발.
          • * 무시험 대상자: 1년 이내 수학, 물리, 화학, 정보학 분야 국제 각종 유명 경시대회, 전 러시아 각종 유명 경시대회3등 내 입상자 등, 꼴모고르프 전국 학술대회에서 상을 받은 대상자는 별도의 면담을 통해 선발.
      • 선발 절차
        • 1차 시험: 보통의 공책에 간단한 인적사항을 쓰고 문제를 푼 다음 각 지역 담당 해당 학교로 우편으로 발송·심사
        • 2차 시험: 꼴모고르프 학교에서 치르는 필기 시험
    4. 교사/교수
      대부분의 교사들은 모스크바 국립대학 및 과학 기술대학, 물리대학 등에서 교수를 겸임하고 있고 이들이 쓴 교과서는 이 학교 학생들뿐만 아니라 다른 학교에서 교과서로 채택되어 활용되고 있다. 약 200년의 역사를 가진 러시아 최고인 모스크바국립대학교에 기반을 두고 고등학교를 설립함으로써 교수법 및 학문적 성과를 그대로 이어받았고 그 전통은 오늘날까지 큰 변화없이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수학부, 물리학부, 화학부, 정보학부, 인문학부 네 개의 전공별 부서를 두어 학부별로 학문적 성과(논문 발표 수나 교재 개발 수, 학술 경연대회 참가 수)를 종합하여 결산 종합보고 때 이를 포함한다.
    5. 진학
      졸업생의 70%는 모스크바 국립대학에 입학을 하였으며 나머지 학생들도 수학 또는 물리, 기술 공학 분야에서 러시아 최고의 대학에 입학하였다. 대부분의 졸업생들은 수학, 과학, 기술, 공학 분야에 진학하였으나, 1990년대 이후 변화된 사회상을 반영하듯 인기학과인 경제, 경영 분야 쪽의 진학도 다소 늘고 있다. 현재까지 500명 이상의 조교수, 부교수 급 박사, 100명 이상의 정교수 급 박사를 배출하였다.
      또한 이 학교 졸업생들은 현재 연방 의회, 은행, 기업, 문화 교육계 등 사회 전반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고, 러시아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상당수 졸업생들이 전 세계 곳곳에 퍼져나가 대학 및 연구기관에서 일을 하고 있다.
    6. 홈페이지
    1. 설립 배경 및 목적
      • 배경

        1983년 소련에서는 일반적인 학교 교육 이외에 여러 가지 방향의 다양한 형태의 교육 방식이 진행되었는데 이러한 활동 중의 하나로 모스크바 내의 여러 대학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학교에서 배웠던 화학을 더 깊이 폭넓게 탐구하고 여러 화학 관련 행사에 참가하여 다수의 올림피아드 수상 등의 성과를 냈다. 그런데 몇 년 후 많은 기대를 받았던 학생들이 차츰 보통학생 수준으로 하향화되었다. 그 원인의 탐색과 고민의 결과로 일반학교의 교수방법과 다른 새로운 교육방법을 시도할 필요성이 부각되어 1990년에 화학을 중심으로 한 화학영재학교를 설립하였다.

      • 설립목적

        짧은 기간에 대학수준정도의 깊이 있는 공부를 가능하게 하여 25~30세까지 학생시기에 학문에 대한 흥미와 창의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고 유지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어려운 혼란기였음에도 불구하고 문제를 극복해가며 새로운 시도를 계속해나갔다.

    2. 교육의 방향과 교육과정
      • 교육의 근본방향

        근본방향은 과학중심이다. 우수한 능력을 가진 영재학생들을 과학을실제로 연구하고 응용시키는 과학자들과 직접 연결시키는 것이 가장 큰 주안점이었다. 1990년경에 젊은 층을 포함하여 우수한 과학자들이 다수 외국으로 빠져나가거나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기도 했지만, 영재학생들을 교육시켜 우수한 학자들에게 수준 높은 교육을 받을 수 있게 해주게 함은 물론, 학생들이 학교를 졸업하고 대학과정을 공부하는 동안 계속해서 학자나 연구소들과 긴밀한 관계를 항상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 교육과정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학생들의 학습 과정에서 과학자들과의 교류를 중시할 뿐만 아니라 학교에서 화학실습의 습관을 심어주고, 대학에서도 가르치지 않는 분야를 별도로 가르치면서 앞으로의 연구를 준비하게 한다. 또한, 화학을 전문으로 하는 내용을 강조하면서도 모든 일반과목의 수업도 중요하게 여긴다. 따라서 일반과목들도 다루면서 전문과목인 화학을 많이 학습하도록 하며, 동기유발이 이루어지고 흥미를 줌으로써 학생이 자발적으로 더 많은 것을 배우고자 하게 된다. 학교 프로그램 외에 화학논문이나 자료를 얼마나 보고 준비하느냐가 학생의 학문의 수준을 말해준다. 올림피아드 등을 위해 별도의 준비 없이도 단연 훌륭한 성과를 내고 있다. 뿐만 아니라 1년에 수 차례에 걸친 연극, 콘서트 등의 다양한 무대예술활동을 하고 있다. 기본과목 이외에 특별과정을 다양하게 개설하여 보다 깊이 있는 공부를 원하는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화학학교 11학년 기본교육과정>
      과목(11학년) 수학 물리 화학 문학 문화 영어 생물 지리 경제 체육
      화학과 6시간 6시간 12시간 10시간 6시간 6시간 2시간 2시간 2시간 4시간
      물리수학과 14시간 8시간 2시간 10시간 6시간 6시간 2시간 2시간 2시간 4시간
    3. 학생구성과 입학조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그 수가 월등히 많으며, 전문 화학교사 및 전문 수학교사 각 4명씩이며, 그 외에 많은 외부강사가 있다. 입학을 위해서 화학과 수학 필기시험과 인터뷰가 이뤄진다.
      <화학학교의 학생구성>
        9학년 10학년 11학년
      화학부 15 15 15 45
      물리수학부 15 15 15 45
      30 30 30 90
    4. 졸업논문과 보고서(수학·물리과를 중심으로)
      수학·물리과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졸업논문이다. 11학년에서 졸업논문을 작성하는데 이러한 것은 러시아에서도 3~4개 정도의 학교 밖에는 없다.
    5. 홈페이지
  • 1987년 이오페물리기술대학의 교수들이 제안하여 만든 학교로 물리, 공학 분야의 전문가를 조기에 양성하기 위한 교육기관이다. 물리기술대학은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직속 연구기관이므로 이 학교는 러시아 유일의 과학아카데미 직속 학교 인 셈이다. 이오페공대산하수학물리학교는 이오페물리기술대학과 같은 건물 안에 있기 때문에 초등학교부터 대학, 더 나아가 연구기관까지 전 과정이 하나의 건물 안에서 자연스럽게 어울리게 된다. 특히 물리 교육을 중점으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이오페물리기술대학의 교수인 죠르주 알표로프가 2000년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면서 물리기술대학이 세계에 널리 알려졌다. 스웨덴 국왕 방문 및 쉬레더 독일 총리 방문 시 푸틴 대통령이 이 학교를 안내하였다.

    1. 교육과정
      물리, 수학(대수, 해석, 기하), 정보학, 영어에 비중을 더 주고 이 중 물리학을 다른 학교보다 강화하여 전체 프로그램이 짜여졌다. 수학은 일주일에 8시간, 물리는 6시간 배정한다. 정규 수업은 오후 2시 30분경에 끝나며 그 후 보통 18:00시까지 다른 특수학교들처럼 특별 수업과 세미나가 진행된다. 수많은 대학교수와 교사들이 자신의 연구주제를 심화하여 보통 일주일에 두, 세 시간 정도 수업을 한다. 이를 위해 빼쩨르부르크에서 수십 킬로 떨어진 연구소에서 연구하는 연구원도 이곳에 와서 수업을 한다. 일주일에 6일 수업을 하며 이 중에는 제2외국어와 4시간의 체육?수영 시간이 포함되어 있다. 일주일에 한번은 물리기술대학과 세체노프기술대학의 실험실에 가서 실습을 한다. 강의식 수업과 세미나 수업이 포함된 정규 수업이 끝나면 특별 강의식 수업과 개인 연구, 자습, 실험?실습을 한다. 따라서 기본 수업의 구조는 꼴모고로프수학물리 고등학교와 같고 특징은 물리 교과를 강화한 수업을 한다는 점이다.
    2. 교과 외 과정
      여느 다른 수학물리학교와 마찬가지로 여행 동아리가 있어서 활발하게 활동 중이다. 러시아 각 지역을 여름 방학과 겨울 휴가를 맞아 장기간 여행을 하며 또한 장기반, 영어 연극반, 러시아어 연극반들이 활발하며 모든 경우에 지도교사가 특별활동을 함께 한다. 또한 각종 체육대회가 종목별로 열리고 있다. 사하로프 국제 청소년 학술회의를 주최하고 있으며 특강 수업에는 과학과 문화에 대한 석학들의 강의가 이루어진다.
    3. 교사/교수
      전체 교원의 수는 약 50여명으로, 전임 교원 25명, 객원 교원 25명이다. 이 중 12명이 박사이며, 10명의 교사가 “공로 교사” 급이다. 교사 선발에 대한 최종 결정권은 교장에게 있고 교원이 되기 위해서 교사자격증의 소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교사 선발은 공개 채용, 추천, 지원을 통해 공개 강의 후 1년 계약을 한다. 일 년간의 강의 기간동안 검증된 교사, 교수에 대해 본 계약을 한다. 교원 선발에서 가장 중요한 요건은 최근 연구 성과 또는 실제 연구 경력이다. 그리고 채용된 교사에 대해 대학이나 연구소에서 실제로 연구 활동을 하도록 보장한다. 교사의 자질 향상을 위해 별도의 직무연수는 하지 않으며 교사들 간에 이루어지는 세미나로 충분하다고 믿는다.
    4. 홈페이지
  • 239 Physical Technical High School Saint-Petersburg

  • Specialized Educational Scientific Center Of Novosibirsk State University
    1. 연혁
      • 설립 : 1985년
      • 설립자 : 일리노이주
      • 대상 : 고등학교 1, 2, 3학년 영재 650명 (기숙사 생활)
      • 목적 : 일리노이주에서 필요한 고급과학기술 인력 양성
      • 현 교장 : Dr. Eric McLaren
      • 현 총장(President) : Dr. Stephanie Pace Marshall
    2. 일반현황
      • 위치 : 시카고 서쪽 근교
      • 주소 : 1500 W Sullivan Rd, Aurora IL 60506-1067, USA
      • 연락처 : Tel: 1 630-907-5000
      • 홈페이지 : http://www.imsa.edu
    3. 특징
      • 수업료 및 숙식비 : 일리노이주에서 지원
      • 교수-학습방법 : 문제중심, 탐구중심, 통합적 방법 이용
      • 간학문적 접근 : 수학, 과학, 예술 및 인문학간의 연계 중시
      • 100개 이상의 저명 연구기관과 협력하여 학생들이 연구를 수행함
        (예: Argonne National Laboratory, the Field Museum, Loyola Medical Center 등)
      • 졸업생 : 2,966명 중 99%가 대학진학
      • IMSA 졸업생들이 가장 많이 진학한 5개 대학교들
        • 일리노이주 :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 Northwestern University, The University of Chicago,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Bradley University
        • 미국내 : Washington University (Missouri), MIT, Stanford University, Harvard University, Rice University (Texas)
      • 교원 : 교원의 43%가 박사학위 소지; 1988년 노벨상 수상자인 Dr. Leon Lederman (Resident Scholar)이 IMSA에 상주하고 있음
      • 연수 : 일리노이주 교사 및 학생들에게 수학, 과학기술 등에 관해 연수함으로써 수학, 과학분야에 대한 교수-학습법 및 학생들의 관심제고에 기여
    1. 비전
      더 민주적이고 윤리적이며 인도적인 글로벌 사회에서 생산적이고 균형 잡힌 삶을 영위할 탁월한 자질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는 다양성을 갖춘 공동체이다.
    2. Northside College Prep High School 일반현황

      5501 N. Kedzie Ave. Chicago, IL 60625

      • Tel : (773) 534-3954 (ext 132)
      • Fax : (773) 534-3964
      • 교장 : Dr. James C. Lalley
      • 교감 : Mrs. Lisa Marie Moreno
      • 홈페이지 : www.northsideprep.org
    3. 학생선발
      매년 250명 선발.
      시카고 거주 학생.
    4. 교과과정
      Northside College Prep 고등학교는 모든 과목 분야에서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코스를 제공한다. NCPHS는 각각의 모든 학생들이 생산적인 시민과 일꾼에게 필요한 고등 수준의 도전적이고 우수한 프로그램에 참여할 자격이 있다고 믿는다.
      • 학부 :
        • Computer Science
        • Counseling
        • English
        • Fine Arts
        • Mathematics
        • Physical Education
        • Science
        • Social Sciences
        • World Languages
    5. 졸업학점
      • 4.0 : English, Mathematics, Science
      • 3.0 : Social Sciences, World Language, Electives
      • 2.0 : Fine Arts, Physical Education, College-Career Pathways*
      • 1.0 : Computer Science
      • Student Advisory
      • 40 hours of Community Service
    6. 수업
      • 교사 1인당 5분반이며, 주당 수업시간은 1000분으로, 한 분반당 100분 수업이 주당 2회임.
      • 수업은 교사의 강의, 학생의 활동 및 발표, 학생들의 토론활동 등으로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100분 수업 안에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짐.
      • 과제는 거의 매 수업시간마다 부여되는데, 수준은 높지 않은 편.
      • 수업에는 다른 교사, 학부모들의 자유로운 참관이 가능.
    7. 교사 역할
      • 담임교사 : 4년 동안 동일한 학생 28명 내외의 담임, 매일 Advisory Period(7:55~8:05)에서 학생 출결 체크 및 주요 사항 전달, 전달사항은 email로 연락받음.
      • 상담교사 : 상담부-상담부장, 상담교사 3명, 상담교사 1인당 250명 내외의 학생들을 책임지며, 4년 동안 전담 상담교사가 정해져 있음.
      • 임시교사 : 은퇴한 교사 활용.
    • RVGS(Roanoke Valley Governor's School)
    • RVGS(Roanoke Valley Governor's School)
    1. 학생 및 교원
      • 학생수 270여명; 9, 10, 11, 12학년으로 구성
      • 교원수 16명
    2. 선발
      • 지원대상 : 과학과 수학에 재능이 있고 흥미가 있는 학생으로 학문에 열의가 있는 학생. 새롭고 창의적인 방법으로 무언가를 하고자 하는 학생.
      • 성적기준 : 대수학1, 기하학 A학점 이상, 컴퓨터키보딩 기술보유, 독법능력과 관련된 과목에서 우수한 성적, 수학?과학 과목에 진정한 관심을 보여주는 성적증명; 학생에게 가장 도전적일만한 과목을 선택한 성적증명; 학업에 열정적이고 진지한 자세를 가지고 있으며, 위급 시에 포기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줄 수 있는 우수한 성적증명.
      • 지원자료 : 지원서, 에세이, 과외활동 내용, 교사추천서 2부, 지도카운슬러 양식
      • 선발방법 : 각 교육구에는 개별 선발위원회가 있다. 선발위원회는 각 교육구 내의 학생을 선발하며, 참여학교의 각 교육구를 대표하는 지역위원회가 지원서를 검토한다. 가버너스쿨은 학생 선발제한이 있다.
    3. 교과과정

      2학기제로 되어있다. 첫 번째 학기가 9월에서 12월, 두 번째 학기가 6월에 끝난다. 일주일 중 하루는 연구과제에 초점을 두어서 공부하며 1월 중순에 3주 반 동안 연구만 수행한다. 월,금요일은 오전 2시간, 오후 2시간씩 수업이 있다. 한 교시에 1시간 20분 수업이며, 금요일은 선택과목 수업이다. 화요일은 오전 3시간 수업이며, 수,목요일 오전에는 연구수업을 한다.

      • 과학코스 : 1학년 때에는 실험물리, 2학년 때에는 생물, 화학 중 한 과목을 선택하며, 3학년 때에는 물리나 생태학, 혹은 AP 화학을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공학을 온라인으로 선택하게 된다. 매년 한 과목의 과학코스를 요구하게 된다. 3학년은 3과목을 선택하고 4년동안 다니는 학생은 4과목을 마지막 해에 선택하게 된다. 수학은 매년 수강한다.
        수학과정: 속성과정들이 많으며, 이중등록으로 대학 학점 취득이 가능하다.
        • * 과목 - 실험실 물리; 가버너스쿨 화학; AP 화학; 가버너스쿨 생물; 가버너스쿨 물리; 단기속성 가버너스쿨 물리; 가버너스쿨 생태학; 이분야제휴 수학; 최신 미적분 전체코스 ; 실험실 미적분; 단기속성 실험실 미적분; AP 통계학; 첨단 미적분; 가버너스쿨 공학
      • 특징 : 수학, 과학, 기술, 연구기술 분야에서 가장 엄격한 커리큘럼을 제공한다. 이 커리큘럼은 정책 그룹의 최고 입안자에 의해 계획되고 승인되었다. 독특한 교과과정의 구성으로 교과분야의 연결성과 실제 환경의 적용성에 중점을 두며 학생과 교수진간의 협력, 학습에 대한 혁신적인 접근 모델링, 기술제휴, 건실하고 근본적인 준비태세를 강조하고 있다.
    4. 홈페이지
싱가폴

    1. 역사
      1969년 1월 20일 개교 (대학교 진학을 위한 2년제 과정) ; 현 싱가포르 수상인 Mr. Lee Hsien Loong이 NJC 출신임
    2. 교육목표
      각 학생의 신체적, 도덕적, 그리고 지적 잠재력을 최대한 발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교육의 목표로 한다.
    3. 교원 및 학생 현황
      교원 및 학생 현황
      학생수 분야 및 교원수
      학년 당 약 750명 교장 (1), 교감 (3), 과학 (33), 통합프로그램 (18), 예술 (9), 경제학 (11), 국어 (9), 영어 (18), 수학 (21), 체육 (6), 합계 (129)
    4. 교육과정
      • 과학과 예술분야의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학생들은 두 분야의 과목을 선택하여 수강할 수 있다.
        교원 및 학생 현황
        과학 예술
        수학, 물리, 화학, 생물, 경제학, 고급수학, 정보과학 예술, 경제학, 영문학, 지리학, 역사, 수학, 고급말레이어, 고급 중국어, 중국학
      • AEP 제공 NJC는 싱가포르에서 맨 처음으로 Arts Elective Programme을 제공하기 시작한 college이다. 예술적으로 재능이 있는 학생들을 위해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 Humanities Programme 싱가포르 교육부가 우수한 학생들에게 인문학을 공부하도록 인문학 장학금 (Humanities Scholarship)을 수여하고 있다. 수혜자는 지명된 선생님으로부터 가르침을 받고 국외대학이나 국립싱가포르대학교에서 인문학을 계속 공부할 수 있다.
      • Humanities Programme 싱가포르 교육부가 우수한 학생들에게 인문학을 공부하도록 인문학 장학금 (Humanities Scholarship)을 수여하고 있다. 수혜자는 지명된 선생님으로부터 가르침을 받고 국외대학이나 국립싱가포르대학교에서 인문학을 계속 공부할 수 있다.
      • Sapphire Scholars Programme NJC의 최우수 학생들에게 미래의 지도자 학자가 될 수 있도록 마련된 프로그램이다.
      • STAR Programme Student Training and Research Programme으로 생의학 과학분야에 전문성을 키워주기 위한 7개월 집중 연구프로그램이다. NUS 및 IMCB의 교수 및 연구원과 함께 연구한다.
    5. 진학
      100%의 졸업생이 대학교 진학; 상당수가 미국의 IVY League 대학교 진학
    6. 학생 및 교원 교환프로그램
      대만, 일본, 독일, 중국, 베트남, 홍콩, 미국 등
    7. 홈페이지
  • Northside College Preparatory High School(NCPHS)
이스라엘

    1. 일반현황
      • 설립 :1995년 8월.
      • 학년 :10, 11, 12학년.
      • 미술학부, 음악학부, 과학학부로 나누어져 있음.
        • 미술학부장 : Chaim Ben-Shitrit
        • 음악학부장 : Hanan Feinstein
        • 과학학부장 : Bernd S?ring
      • 홈페이지 :http://www.iasa.jlm.k12.il/primf.htm
    2. 특이사항
      과학학부학생 150명으로 IASA의 72%를 차지함.
    3. 선발
      3단계를 거쳐서 선발.
      • 1단계 : 지필고사 (영재 선발검사를 주관하는 쫄드연구소가 IASA만을 위한 문제 출제; 선발 비중의 40% 차지)
      • 2단계 : 교사 3명이 학생의 사고력을 측정하는 면접 실시
      • 3단계 : 워크숍을 통한 수행평가로 3일동안 합숙 (2단계와 3단계가 선발 비중의 60% 차지) : 워크숍을 통한 수행평가로 3일동안 합숙 (2단계와 3단계가 선발 비중의 60% 차지)
    4. 교과과정
      주변 환경에 민감하고 개선하기 위해 책임질 준비가 되어 있으며 도덕적 지침에 따라 행동하는 올바르게 교육된 성인이 되도록 장려한다. 또 과학 연수가 무딘 공식의 암기가 아니라 즐길만하고 흥미로우며 재미있고 놀라움이 가득하도록 노력한다.
      • 과학학부는 다음에 기초하여 독특한 교과과정을 제공한다.
        • 고급 수준3의 수학, 컴퓨터, 실험과학의 State Final Exam 준비.
        • 히브리어와 영어로 된 과학적 문구의 독해 및 작문과 같은 과학적 작업에 필요한 기본 기술 습득; 자습, 실험 계획 및 설계, 자동 측정 장치와 전산화된 실험실의 작동법, 최신 방법을 사용한 데이터 분석.
      • 교육과정
        모든 IASA 과학학부 학생들은 State Final Exam 준비를 위해서 고급수준의 수학을 공부해야 한다. 그리고 고급수준의 컴퓨터 과학을 배우도록 하고 있다. 각 과학학부 학생들은 실험과목(생물, 화학, 물리)을 하나 선택해야 하며 State Exam 준비를 위해 고급수준으로 듣는다. IASA는 자연을 이해하고 일반 지식을 쌓을 수 있는 다양한 과학코스를 제공한다.
        실험이 있는 과학과목과 컴퓨터 과학과목, 수학과목에서는 학생 연구 프로젝트를 하도록 장려한다. 이 프로젝트를 제작한 학생은 State Exam의 학점을 많이 얻는다.
        • 10학년이 시작되는 6주 동안 학생들은 모든 입문 과학실험 코스를 듣는다. 그리고 모든 학생들은 1주일에 10시간정도 공부할 과목을 선택한다. 과학 학부에서 생물, 화학, 물리, 그리고 수학에 우수한 학생을 위한 특별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IASA에서 컴퓨터 과학은 우수학과가 아닌 기술로 가르친다. 관심이 있는 학생들은 Curriculum Development Unit의 도전적인 프로그래밍 연구를 제공받아 State Exam에 많은 학점을 부여받는 프로그래밍 프로젝트에 착수하도록 장려된다.
          IASA는 모든 과목을 동일하게 취급하는 프로그램을 학생들에게 제공하기 보다는 한 가지 과학 과목의 심도 있는 연구를 하도록 학생들에게 제한된 선택을 하도록 하였다.
        • Minor Courses

          11학년이 되면 모든 과학학부 학생들은 자신의 우수과목 외 코스를 들어야 한다. 예를 들면 물리학 학생은 화학과 생물을 듣고 기초를 배워야 한다. 생물학 학생은 화학 코스를 듣는데 예외가 있다. 10학년부터 시작하여 11학년까지 계속 화학코스를 듣는다.

        • Extended Studies

          고급 수준의 State Exam을 위한 모든 교과 요소들의 집합으로 이스라엘 교육부에서 제공하지 않는 수업이 Extended Studies이다. 다양한 형태로 학생들에게 제공된다. (주의 교과과정에서 제공되지 않는 과목들과 구성된 우수 과목의 이론 수업)
          10학년에는 두 번의 주중 학사시간에 우수 과목의 역사적, 철학적, 윤리적 측면을 가르친다. 11학년에는 한 번의 주중 학사시간에 과학 철학을 가르친다.
          11학년 과학학부 학생은 100~200시간의 개인 실험 프로젝트를 해야 한다.(외부 실험이 부분적으로 있다.) 학생들은 서면으로 상세히 리포트를 작성해서 제출하고 7월 전에 프로젝트를 발표한다. 이 경우, 물리학부 학생들은 실험실 State Exam을 통과할 수 있다.
          12학년 학생들은 과학윤리코스를 들어야 하며 이 코스는 과학 활동과 다른 가치 체계들이 대조되는 내용의 철학 과목이다. 코스에는 3년간의 윤리적 질문을 포함하며, 기본 개념과 사상들이 체계적인 방식으로 나타나있다.

        • Elective Courses

          과학학부는 12학년 과학학부 학생들에게 1주일에 2시간의 학사 시간에 해당하는 교양과목을 제공하며, 해당 학생들은 적어도 한 과목을 선택해야 한다. 몇 년 전에는 다음의 과목을 가르쳤다.: Brain Research, Chaos Theory, Symmetry, Global Warming, Simulation. 11학년의 천문학 천체 과목의 교양과목은 1주일에 2시간이며 12학년의 천체 물리학으로 이어진다. 당 학교에는 CCD 카메라가 있는 MEADE LX200 10 망원경이 있다.

일본

    • Ritsumeikan Junior & Senior High School
    • Ritsumeikan Junior & Senior High School
    1. 소개
      1905년에 설립된 사립 세이와 학교가 전신인 리츠메이칸 중·고등학교는 7학년부터 12학년까지 있다. 사유의 자금으로 운영되는 학교인 만큼, 교토의 리츠메이칸 대학교와 오이타의 리츠메이칸 아시아태평양대학의 협력을 통한 중등 및 고등 교육에 초점을 둔다. 당 학교는 학생들이 받을 고등 교육의 튼튼한 기초를 쌓고 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하도록 돕는 것을 임무로 여긴다.
      2002년 당 학교는 일본의 Super Science High School 중의 한 곳으로 선정되었고 과학과 수학 교육에 중점을 둔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왔다.
      2006년에는 MEXT(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가 당 학교를 향후 5년(2010년)까지 Super Science High School로 다시 선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고등 과학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더욱 노력하고 있다.
    2. 연표
      연표
      1900 고주로 나카가와’가 법대의 전신인 교토 호세이 학교(법학 및 정치학 야간학교)를 설립.
      1905 창립자인 킨모치 사이온지 왕자의 허가를 얻어 ‘리츠메이칸’이라는 이름을 공식적으로 사용. 세이와 중학교는 교토 호세이 학교의 분교로 설립됨.
      1913 리츠메이칸 재단이 설립됨. 학교 이름이 ‘리츠메이칸 대학교’로 공식적으로 바뀜.
      1948 학교 개혁을 통해 리츠메이칸 남자 중학교가 설립됨.
      1988 리츠메이칸 중·고등학교가 남여공학으로 되고 후시미의 후카쿠사의 새 캠퍼스로 이동.
      1994 리츠메이칸 우지 고등학교가 리츠메이칸과 우지신탁의 협력에 의해 설립.
      1995 리츠메이칸 대학교 케이쇼 고등학교가 리츠메이칸과 케이쇼신탁의 협력에 의해 설립.
      1998 리츠메이칸 대학교 케이쇼 고등학교가 에베수시의 새 캠퍼스로 이동
      리츠메이칸 중학교 학급당 학생 수 43명에서 36명으로 조정.
      2000 리츠메이칸 아시아 태평양 대학(APU) 설립. 뉴질랜드로 중학교 학습투어.
      2002 MEXT가 리츠메이칸 고등학교를 Super Science High School로 선정
      2003 쿠사추에 있는 대학 캠퍼스에서 Super Science Program용 시설을 개장. 중학교 교실 재공사.
      2004 고등학교 교실 재공사.
      2005 2010년 3월까지 Super Science High School로 지정. 100주년 기념.
    3. '리츠메이칸'이라는 이름의 기원
      리츠메이칸이라는 용어는 맹자의 강연인 ‘짐신’장의 일부분에 나온다. 이 부분에서 누군가는 어려서 죽지만 다른 이들은 오래 산다고 한다. 이것은 모두 하늘의 뜻이므로 사람들은 자신의 그릇만큼 하고 나머지는 하늘에 맡겨 두며 단지 자신의 삶 동안 자기 개선에 혼신을 다해야한다. 그러므로 리츠메이칸은 하늘의 승리를 기다리는 동안 사람들이 스스로 최선을 다해 자신을 발전시키는 장소라는 의미이다.
    4. 교과과정
      - Ritsumeikan 중학교
      학년 과목
      1학년 Japanese/ Social Studies/ Mathematics/ Science/ Music/ Art/ Physical Education/ Techn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nglish/ Moral Education/ Homeroom Activities
      2학년 Japanese/ Social Studies/ Mathematics/ Science/ Music/ Art/ Physical Education/ Techn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nglish/ Moral Education/ Homeroom Activities.
      3학년 Japanese/ Social Studies/ Mathematics/ Science/ Music/ Art/ Physical Education/ Techn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nglish/ Moral Education/ Homeroom Activities to be chosen Basic English/ Music/ Art/ Calligraphy.
      - Ritsumeikan 고등학교
      학년 과목
      1학년 Japanese/ World History A/ Politics and Economics/ Mathematics1A/ Chemistry1B/ Physical Education/ Art1/ English/ General Learning1/ Oral CommunicationA/ Homeroom Activities
      2학년 Japanese Expression/ Classical Literature/ Mathematics/ Physical?Education/ Art/ English/ General Learning/ Homeroom Activities to be chosenJapanese History A/ Geography A For the students aiming at humanities faculties to be chosen Physics IB/ Biology IB/ Earth ScienceIB/ Current English A/ Oral English For the students aiming at science faculties Physics IB and Mathematic B
      3학년 Contemporary Japanese/ Ethics/ Physical Education/ English Reading/ English Writing/ Seminar/ Homeroom Activities to be chosen Japanese History B/ World History B/ Geography B/ Physics Chemistry&Biology IB/ Earth Science IB For the students aiming at humanities faculties Classical Literature to be chosen EnglishI/ Mathematics/ Japanese/ Japanese History/ Geography/ Politics/ Mathematics B/ Mathematics C/ English II For the students aiming at science faculties Mathematics and Mathematics C
    5. 홈페이지
중국

    1. 학교소개
      양질의 교육과 국가적 필요가 완벽하게 조화되어 있는 기숙학교인 복단대학교 부속 고등학교는 현재 상해 교육 위원회(Shanghai Education Commission)와 복단대학의 상호 지도 아래 있다. 1950년 설립된 이래, 당 학교는 항상 복단대학의 모토인 “넓은 시야, 불요불굴의 의지, 적절한 질문, 심원한 생각”, “특색이 있는 교수법의 점차적인 형성”을 당 학교의 모토로 채택하여 왔다. 이 모토는 견실한 기초와 강한 재능, 창조적인 발명과 두드러진 성격, 그리고 독특한 스타일(사실로부터 진리를 찾아 실용화하도록 노력하고 가장 높은 표준을 가늠하는)을 갖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당 학교 졸업생들은 각 지역과 해외에서 모두 명성이 높다. 학생들은 국내와 국제 사회에서 열리는 거의 모든 경합의 상대들을 매우 앞서 나며, 졸업생들은 모든 지역사회와 고급 교육기관에서 따뜻한 환영을 받는 인재들이다. 졸업생의 70%는 Harvard, Oxford, Cambridgee, Peking, Tsinghua Fudan, Jiaotong 대학에 진학한다. 일등급 대학의 진학률도 98.6%로써 세계 일류의 위치에 있다.
      지금까지 76mu의 캠퍼스를 확보하여 왔고, 현재 약 49,000 평방미터의 공사 지역과 최신 교육 시설이 있다. 상해에 있는 당 학교는 중국 전역과 세계의 학생들에게 열려있다. 복단대학교 부속고등학교에서 공부하는 것이 뛰어난 중학교 졸업생들의 간절한 열망이 되었다.

      - 학생 수 : 1115명, 교원 112명

    2. 목표
      학생들의 발전을 위하여 어떤 일이든지 하는 것이 교육 원칙의 중심이다. 학교의 교사와 직원들을 포함한 모든 학생들의 주요 역할로써 독립된 발전을 가장 중요시 한다. 또 학생들이 점차적으로 학습의 대가, 자신들 학교의 대가, 국가의 대가, 시대의 대가가 되도록 훈련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학생들은 견실한 이론적 기초를 다지고, 연구하는데 있어서 과학적으로 엄격하게 접근하며 노력한다. 그리고 나라에 봉사하겠다는 결심과 함께 자기 발전과 혁신적인 연구에 대한 뛰어난 능력으로 매우 자질을 갖춘 전문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학교에서는 자유로움, 민주성, 노력하는 정신으로 자질을 갖춘 교사들에게 학구적인 환경을 제공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교사들은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태도를 갖고 모험하며, 새로운 아이디어를 낳고, 또 최고가 되도록 훈련받는다. 또 학교에서는 “높은, 새로운, 엄격한, 견고한”이라는 교수 특성과 관심과 정감을 통해 학생들을 격려하고 고취한다. 지식을 통해 학생들이 성취감을 느끼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인도적인 교수 목표를 수립하여 왔다. 당 학교는 이러한 특색들이 신장되는 것과 특징을 갖는 것, 그리고 연구 코스가 다양하게 되는 것에 큰 가치를 둔다.
    3. 교원
      학교 교원들은 연구를 존경하고 학생들을 사랑하며 특색있는 교수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리고 심원한 전문 연구를 하는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13명의 교사들은 특수 학년 교사로서 연속적으로 5명의 중년의 교사와 젊은 교사들이 중견 교사들을 위한 국립 상해시의 훈련을 받았다. 이 교사들의 과학적 연구로 인해 교육적인 개혁을 가져오고 있다. 그리고 교사들은 수천개의 이론과 논문을 발행하였으며, 현재 과학 연구에 전념하고 있다. 학생들의 건강 증진을 위한 모든 수행 정책을 준비하고, 교수와 서비스와 운영을 맡은 교육자들의 생각을 지도하는 모든 과정은 최고의 교육 환경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4. 홈페이지
  • G.T.(Ellen Yeung) College(GTC/홍콩)
  • The Experimental School of BeiHang University
태국

    • Mahidol Wittayanusorn School
    • Mahidol Wittayanusorn School
    • Mahidol Wittayanusorn School
    • Mahidol Wittayanusorn School
    1. 학교소개
      마히돌 위타야손 학교는 10학년부터 12학년 학생들을 위한 학교로서 일반교육부와 마히돌 대학교의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창시되었다. 1991학년도 처음으로 학생들을 맞이하였다. 초기 4년동안 Raikhing Temple의 내부에서 생활하였다. 후에 지금의 장소인 Nakhon Pathom구의 Buddhamonthon 지역, Salaya에 있는 마히돌대학교의 캠퍼스로 학교를 옮기게 되었다. 이곳은 태국의 수도, 방콕에서 약 30km 정도 떨어져 있다.
      1992학년도에는 Bhumibol Adulyadej 국왕이 “Mahidol" 왕족 인증을 사용하도록 승인하였다. ”Mahidol Wittayanusorn School이라는 이름은 Maha Chakri Sirindhorn 공주가 수여하였다.
      1999년에 국가 교육령에 따라 과학과 수학 영재들의 완전한 발전을 위한 교육을 제공하는 정부 정책이 시행되면서 교육부는 기존의 정책과 다른 특수 과학 학교를 설립하는 Institute for the Promotion of Teaching Science and Technology (IPST)를 지정하였다. 이에 따라, 교육부 장관의 감독 아래, 태국의 첫 공립 특수과학학교로서 Mahidol Wittayanusorn을 설립하는 왕령이 2000년 8월 25일 공표되었다.
    2. 지원자격
      • 9학년
      • 지원요건
        • 7,8학년 GPA 3.00 이상
        • 과학 연계과목 GPA 3.00 이상
        • 수학 연계과목 GPA 3.00 이상
      • 교내 규칙과 규정을 준수하며 기숙사 생활을 할 수 있는 자.
      • 매년 240명 선발
    3. 교과과정
      • 학생들의 인식력, 도덕성, 체력, 기술 발달을 강조.
      • 교육부의 2001 기초 교육과정의 모든 필요 코스를 채택.
      • 과학, 수학, 기술, 영어 과목의 집중적이고 수준 높은 코스 포함.
      • 선택과목으로써 과학, 수학, 컴퓨터, 외국어 연계과목에 중점.
      • 영어 외 제 2외국어 공부 장려
      • 유연한 교과과정으로 학생들은 관심분야와 적성에 맞게 지식을 습득하는데 각자의 최대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 학교 내외의 다양한 활동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학교의 목적과 열망에 부합되는 바람직한 인성을 기르게 한다.
      • 창의력과 혁신적인 생각으로 효과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하도록 장려한다. 졸업하기 전에 적어도 한 가지 프로젝트를 발표해야 한다.
      • Formal, Non-formal, informal의 3가지 형태 간 학점 호환을 장려한다.
    4. 홈페이지
호주

    • The Australian Science and Mathematics School (ASMS)
    • The Australian Science and Mathematics School (ASMS)
    1. ASMS 소개
      ASMS는 10~12학년의 전문 공립학교이다. 혁신적인 교과과정을 통해 보다 협력적이고 집중적인 학생 중심의 학습을 지원하고 촉진하고자 2002년에 설립되어 2003년에 개교하였다.
      ASMS는 고급수준의 수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자신감을 향상시킴으로써 세계, 미래, 지구 공동체와 환경을 발전시켜 나가도록 준비한다. ASMS의 목적은 학생들이 선택한 분야에서 국내 및 국외에서 사상가로서 그리고 리더로서 인정받는 것이다.
    2. ASMS 교직원 및 학생
      • 교사 : 교장 Jim Davies 외 26명
      • 직원 : 10명
      • 학생 : 1800명
    3. 교과과정

      Central Studies 교과과정은 4분야 전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SACE(South Australian Certificate of Education)와 SACSA(South Australian Curriculum, Standards and Accountability) 학습 성과를 충족할 수 있는 과정이다.

      • Science
      • Maths
      • Humanities (including English, ESL SOSE and HPE)
      • Arts (including Design and Technology)

      그 외 분야에 관심 있는 학생들은 보충수업의 많은 코스에 등록할 수 있다.

      ASMS는 학교 밖의 다양한 직업세계를 알아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로써 학생들이 신중하고 적극적이며 책임감있고 헌신적인 시민으로서 변화할 수 있는 양질의 평생 교육을 받도록 한다.

      • University Studies
      • Workplace Studies
      • International Study Tours

      마지막 학년의 학생들은 더 깊은 연구 및 미래 직업전선에 대한 준비로 SACE(South Australian Certificate of Education) Stage의 2가지 연구코스를 들을 수 있다.

    4. 등록
      ASMS 등록 지원은 연간 아무 때나 가능하다. 지원 양식과 관련 자료는 학교 및 웹사이트를 통해 받을 수 있다.
      • 절차

        다음 선발기준을 통해 개별 지원자를 평가한다.

        • 학업에 대한 관심사와 열정, 그리고 과학과 수학 중심의 통합 교과과정에 기초를 두고 공부하기 원하는 학생
        • ASMS의 혁신적인 교습 및 학습 환경 속에서 효과적이고 책임감 있는 개인의 학습 기술을 긍정적으로 발달시켜 나갈 수 있는 학생임을 보여주는 증거 자료.
        • 사회 정의를 존중하는 학생.

      평가를 통해 지원자는 바로 등록되거나, 면접 제의를 받을 수도 있으며 혹은 대기자 명단에 올라가게 된다.

    5. 주소 및 연락처
      • Australian Science and Mathematics School
      • Flinders University
      • Sturt Road
      • BEDFORD PARK SA 5042
빠른메뉴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