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생활 급식관리 급식게시판

급식게시판

  • 본 사이트는 대한민국 저작권법 및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합니다.
  • 회원은 타인의 저작권을 포함한 지적재산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내용물에 대하여는 등록할 수 없으며, 만일 이와 같은 내용의 게시물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에 대한 모든 책임은 회원 본인에게 있습니다.
  • 개인정보보호법 제59조 3호에 따라 타인의 개인정보(주민번호,폰번호,학번,주소 등)를 유출한 자는 처벌될 수 있으며, 등록된 글(글,텍스트,이미지 등)에 대한 법적책임은 글쓴이에게 있습니다.
'수입 유기가공식품 인증마크 알아두세요' - 영양뉴스 33호
  • 작성자권*영
  • 작성일2005-02-27
  • 조회수6733

 

수입 유기가공식품 인증마크 알아두세요  

수입 유기가공식품은 수출국에서 받은 인증만 있으면 별도의 인증 절차 없이 국내에서 ‘유기농’으로 표시하고 판매할 수 있다.

소비자들은 여러 가지 생소한 인증마크를 보고 헷갈릴 수 있다. 또 외국의 인증기관을 얼마나 신뢰할 수 있을지도 혼란스러운 부분.

이럴 때는 미국 농무부(USDA), 국제유기농산물인증협회(OCIA) 등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인증기관과 마크를 알아두면 큰 도움이 된다.

‘녹색식품(Green Food)’으로 불리는 중국의 유기농산물은 생산 환경 유통조건 등에 따라 ‘AA급’과 ‘A급’으로 나뉜다. AA급은 엄격한 생산기준에 따라 생산된 유기재배농산물, A급은 생산기준이 상대적으로 덜 까다로운 ‘저농약, 저화학비료 농산물’을 지칭한다.

수입 유기가공식품을 구매할 때는 번거롭지만 유통기한 등을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수입식품에 한글 라벨을 별도로 부착하는 것은 식품위생법에 명시된 사항으로, 이를 지킨 제품이라면 공식 창구를 통해 수입된 제품임을 증명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글 라벨과 제품 자체에 각각 유통기한이 적혀 있다면 이 날짜가 일치하는지 살펴보는 것도 중요하다. 제품에 찍힌 날짜는 대부분 ‘일, 월, 연도’ 순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런 순서가 헷갈리면 한글 라벨에 적힌 대로 읽으면 된다.

PROD는 제조일(Product Date), BBE는 제품이 가장 좋은 품질을 유지하는 기간(Best Before), EXP는 유통기한(Expire)을 의미한다.

원료가 모두 유기농은 아니더라도 단계별로 ‘유기’라고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의 유기가공식품은 △유기 재료가 100%이면 ‘유기100’ △95%이면 ‘유기농’ △71∼94%이면 ‘유기농으로 만들어진 것’ △70%이면 ‘유기농재료 70%’ 등으로 표시한다.

 

첨부파일

 

빠른메뉴
상단으로